본문 바로가기
성인병

건강검진 수치 해석 기초

by dollhouse 2025. 4. 22.
반응형

🩺 1. 건강검진 결과지를 볼 때 기본 구조

건강검진 결과지는 보통 이렇게 되어 있어요:

항목수치정상 범위판정
공복혈당 110 70~99 ↑ 주의
콜레스테롤 230 0~200 ↑ 고위험
혈압 142/95 120/80 이하 ↑ 고혈압

여기서 제일 중요한 건
수치 + 정상범위 + 경고표시(↑↓) 이 세 가지예요!


🔑 2. 가장 많이 보는 주요 항목 10가지

👉 수치 해석할 때 이렇게 보세요!


공복혈당 (Fasting Glucose)

  • 정상: 70~99 mg/dL
  • 100~125: 당뇨 전 단계
  • 126 이상: 당뇨병

📌 100이 넘으면? → 식습관 점검 + 운동 시작


당화혈색소 (HbA1c)

  • 최근 2~3개월의 평균 혈당을 보는 지표
  • 정상: 5.6% 이하
  • 5.7~6.4%: 당뇨 전 단계
  • 6.5% 이상: 당뇨병

📌 공복혈당은 괜찮은데, 당화혈색소가 높으면?
평소에 혈당이 높다는 뜻!


총 콜레스테롤 (TC)

  • 정상: 200 mg/dL 이하
  • 200~239: 경계
  • 240 이상: 고지혈증 위험

📌 주로 지방 섭취 + 유전 영향


LDL 콜레스테롤 (나쁜 콜레스테롤)

  • 정상: 100 이하
  • 100~129: 양호
  • 130~159: 경계
  • 160 이상: 고위험

📌 LDL↑이면 심장병 위험도 ↑


HDL 콜레스테롤 (좋은 콜레스테롤)

  • 정상: 60 이상 (높을수록 좋음)
  • 40 미만이면 위험

📌 HDL은 혈관 청소부예요. 낮으면 위험!


중성지방 (Triglyceride, TG)

  • 정상: 150 이하
  • 200 이상이면 고지혈증 위험

📌 폭식, 음주, 단 음식 → 중성지방↑


혈압

  • 정상: 120/80 이하
  • 130/85~139/89: 경계
  • 140/90 이상: 고혈압

📌 나도 모르게 올라가 있는 경우 많아요!
매년 체크 필수!


간 수치 (AST, ALT)

  • 정상: 0~40 IU/L
  • 높을수록 간에 염증, 손상 의심

📌 술, 약물, 지방간 영향 커요


크레아티닌 (Creatinine)

  • 정상:
    남성 0.71.3 / 여성 0.51.1 mg/dL
  • 높으면 → 신장 기능 저하

📌 콩팥 상태 확인하는 수치예요


요산 (Uric acid)

  • 정상:
    남성 3.47.0 / 여성 2.46.0
  • 7 이상이면 → 통풍 위험

📌 육류·내장류 많이 먹으면 요산↑


💡 결과지에 ‘경계’, ‘주의’, ‘재검’이 뜨면?

판정의미해야 할 일
경계 수치가 정상 범위 살짝 벗어남 생활습관 개선 시작
주의 반복되면 병으로 진행 가능 식단·운동 적극 개입
재검 병일 가능성 높음 정밀 검사 또는 병원 진료 필요

📊 정리 요약표

항목정상 수치위험 기준
공복혈당 70~99 100 이상
당화혈색소 ≤ 5.6% 5.7% 이상
총콜레스테롤 ≤ 200 240 이상
LDL ≤ 100 160 이상
HDL ≥ 60 40 이하
중성지방 ≤ 150 200 이상
혈압 ≤ 120/80 140/90 이상
간수치(AST/ALT) ≤ 40 50 이상 주의
크레아티닌 ≤ 1.2 1.3 이상
요산 남 7.0 / 여 6.0 이하 그 이상은 통풍 의심

💬 마무리 꿀팁

  • 🔹 수치는 숫자일 뿐!연속해서 추적하는 게 중요해요.
  • 🔹 “조금 높은데 괜찮겠지” 하는 순간, 조용히 병이 자랍니다.
  • 🔹 건강검진은 **‘현재 건강의 보고서’**예요. 무시하지 마세요!

혈압측정

반응형